https://www.acmicpc.net/problem/1965
1965번: 상자넣기
정육면체 모양의 상자가 일렬로 늘어서 있다. 상자마다 크기가 주어져 있는데, 앞에 있는 상자의 크기가 뒤에 있는 상자의 크기보다 작으면, 앞에 있는 상자를 뒤에 있는 상자 안에 넣을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앞에서부터 순서대로 크기가 (1, 5, 2, 3, 7)인 5개의 상자가 있다면, 크기 1인 상자를 크기 5인 상자에 넣고, 다시 이 상자를 크기 7인 상자 안에 넣을 수 있다. 하지만 이렇게 상자를 넣을 수 있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앞의
www.acmicpc.net
동적 계획법을 사용한 문제다. 전에 내가 풀어봣던 동적 계획법과 다른 점이 있던 문제다. 전에 있던 동적 계획법들은 과정이 진행될 수록 값이 누적되어 다음에 있는 동적 계획값이 커졌는데 이 문제는 현재를 기점으로 가능한 많은 수의 우원소를 골라야하는 문제였다. 굉장히 도움이 된 문제였고 동적 계획시 반드시 다음 값이 커질 필요가 없다고 느끼게 해준 문제다. 반드시 풀어보자
#include <iostream>
#include <vector>
using namespace std;
int mat[1001][1001];
int main() {
int n; //원소의 갯수
int num; //원소
vector<int> v; //원소를 담아둘 공간
vector<int> ans; //DP값을 저장할 공간
int res = -1; //가장 큰 값
//DP값 세팅을 현재 원소를 하나 먹는 걸로 시작하고 현재 원소 값을 세팅
cin >> n;
for (int i = 0; i < n; i++) {
cin >> num;
v.push_back(num);
ans.push_back(1);
}
//현재 인덱스를 기준으로 최대로 먹을 수 있는 상자의 수를 센다.
for (int i = 0; i < n; i++) {
int check = 1; //시작은 나 자신 한 개 먹기
for (int j = i - 1; j >= 0; j--) { //나 자신을 제외한 바로 뒤에 상자부터 찾아간다.
if (v[i] > v[j]) { //나보다 작은 상자를 만나면
if (check > ans[j] + 1) { //과거의 먹은 상자의 총 갯수가 현재까지 먹은 상자의 수보다 많으면
continue; //무시
}
check = ans[j] + 1; //과거의 먹은 상자의 수를 현재까지 먹은 상자의 수로 대체
}
}
ans[i] = check; //현재까지 먹을 수 있는 최대의 상자 갯수
//최댓값을 찾는 과정
if (res < ans[i]) {
res = ans[i];
}
}
cout << res;
}
'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1309 - 동물원 (0) | 2019.12.27 |
---|---|
백준1544 - 사이클 단어 (0) | 2019.12.26 |
백준2493 - 탑 (0) | 2019.12.24 |
백준9935 - 문자열 폭발 (0) | 2019.12.23 |
백준2805 - 나무 자르기 (0) | 2019.12.07 |